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간에 좋은 음식 간기능 회복, 피로야 가라!

반응형

우리 몸에서 아주 중요한 해독작용을 하는 간이 나빠지면 몸의 전체가 영향을 받게 되고, 쌓이는 피로를 제때 해소하지 못할 경우 만성피로와 무기력에서 부터 시작해서 일상이 어려워지고 간경화나 간암으로 발전하면 암 중에서 가장 끔찍한 암이라는 점에서 그 고통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거예요. 그래서 오늘은 간에 좋은 음식에 대해서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음식 1. 부추

 

부추는 간의 채소라고 불릴 만큼 간의 기능을 강화시켜 주는데 좋은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또한 대장과 소장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해주며, 따뜻한 성질이 가지고 있어 허리와 무릎에 좋다고 합니다. 그리고 생리통이 심한 여자분들이 드셔도 좋다고 하네요. 

 

부추 안에는 비타민 C, 카로틴, 철분, 인, 칼슘, 비타민 B 등 간기능에 좋은 역할을 하는 성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특별히 부추를 한꺼번에 많이 드시는 것보다 반찬으로 해서 평소에 꾸준히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음식 2. 다슬기

 

다슬기를 끓이면 푸른색 물이 우러나는데 이는 다슬기에 푸른 색소가 사람의 간색소와 성분이 비슷하여 간염이나 간경화, 간암 등 갖가지 질환에 좋은 치료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또한 다슬기에는 숙취의 주원인 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가 기존 조개류보다도 월등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숙취해소에 좋다고 합니다.

 

 

음식 3. 결명자

 

결명자는 간과 신장이 기능을 도와 변비나 고혈압에도 좋다고 합니다. 눈도 맑게 해줄뿐만 아니라 해독작용도 가지고 잇어 간에 쌓인 열을 없애고, 간기운을 북돋아 주어 독열을 다스려 준다고 합니다. 눈이 충혈되었거나 쉽게 피로해지는 분들이 복용하면 좋다고 합니다. 결명자는 차로 끓여서 물 대신 드시면 아주 좋습니다.

 

 

음식 4. 추어탕

 

'미꾸라지는 기운을 더해주고 술독과 갈증을 완화하여 비위나 소화기능을 따뜻하게 해주는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맛이 달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어 비위를 좋게하고 설사를 멎게 하는 효과가 있다' 라고 동의보감에 기술되어 있습니다. 칼슘, 비타민류, 양질의 단백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간기능 회복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음식 5. 오가피 

 

오가피가 간에 좋다는 것이 많은 연구결과 밝혀지고 있습니다. 1)간의 GPt수치를 낮추는데 오카피 성분 'Eleuthereo E'가 인산성분 Ginsenoside 보다 무려 74.9% 효능이 높다고 하네요.(약학회지 24) 2)동물실험에서 오가피 성분 'chiisanoside' 먹인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42.6% 간경화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켜 준다고 하네요.(일본특허등록 1984년) 3)강원도 농업기술원이 국내산 가시오가피의 뿌리껍질 추출물을 간암세포주에 투여한 결과 94%의 암세포 생육억제효과를 나타냈다고 합니다.

 

 

음식 6. 헛개나무

 

요즘 헛개나무가 간에 좋다고 많은 관련상품들이 출시되어 TV에서도 선정을 하고 있습니다. 헛개나무를 알콜중독자에게 꾸준히 달여 마시게 하면 건강을 회복할 수 있다고 하네요. 헛개나무는 숙취해소는 물론, 간장의 기능을 높여주고 간에 누적된 독을 풀어주는 효능이 탁월하다고 합니다.

 

 

음식 7. 바지락 

 

바지락은 술안주에 좋은 음식인데요. 간건강에도 아주 좋다고 합니다. 바지락에 풍부한 '타우린'이 간의 해독작용 돕기 때문입니다. 또한 바지락에 포함된 '메티오닌' 등 필수아미노산과 니아신, 히스티딘, 비타민 B, 칼슘, 철분 등도 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흡수율이 97% 이상되는 질 좋은 단백질을 달걀만큼이나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데, 이런 단백질이 간기능 회복에 필수적인 영양소라고 하네요.

 

 

음식 8. 민들레

 

민들레에는 '콜리'성분이 있어 간경화, 간질환, 간염, 담석, 황달증세를 완화하는데 뛰어난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또한 '테르핀'이라는 성분으로 향균, 향염, 항암 면역효과에 뛰어난 효능이 있어, 가을이나 겨울철 일교차가 큰 날씨에 먹으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