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바다의 지배자! 세계의 항공모항을 크기순서로 정리 Top 10

반응형

항공모함은 전투기, 전폭기 등 각종 함재기를 탑재하고 이착함을 시키는 대형군함으로 미국의 니미츠급 항공모함 1대가 작은 나라 공군력을 능가한다는 말들이 공공연했었죠. 그래서 오늘은 바다의 지배자! 항공모함을 크기순서로 정리해봤습니다. 

 

 

 

1위 :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 (미국)

건조 시기: 2013년 진수, 2017년 취역​
길이: 337m​
배수량: 약 100,000톤​
특징: 최신 기술이 적용된 원자력 추진 항공모함으로, 전자기식 캐터펄트와 고급 레이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2위 : 니미츠급 항공모함 (미국)

건조 시기: 1975년~2009년​
길이: 332.8m​
배수량: 약 97,000톤​
특징: 10척이 건조되어 미국 해군의 주력 항공모함으로 활약 중이며, 원자력 추진 방식을 사용합니다.​ 순차적으로 포드급으로 교체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3위 : 푸젠함 (중국)

건조 시기: 2022년 진수, 2023년 이후 취역 예정​
길이: 약 320m​
배수량: 약 80,000톤​
특징:
중국 항공모함 중 최초로 전자기식 캐터펄트(EMALS)를 도입하였는데, 아직 이착함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어요. 평갑판의 미국의 항공모함과 비슷한 형상이며, 원자력 추진이 아닌 증기 터빈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향후 원자력 추진 도입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

 

4위 :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 (영국)

건조 시기: 2014년 진수, 2017년 취역​
길이: 280m​
배수량: 약 65,000톤​
특징: 영국 해군의 최신 항공모함으로, F-35B 스텔스 전투기를 운용할 수 있어요.​ 2번함까지 건조가 되었으며, 프린스 오브 웨일스함입니다.

 

 

5위 :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 (러시아)

건조 시기: 1985년 진수, 1990년 취역​
길이: 305m​
배수량: 약 58,600톤​
특징: 러시아 해군의 유일한 항공모함으로, 스키 점프대 형태의 비행 갑판을 갖추고 있어요.​ 승무원은 1,700여명입니다.

 

 

6위 : 랴오닝함 (중국)

건조 시기: 1988년 진수 (구 소련), 2012년 중국 해군 취역​
길이: 304.5m​
배수량: 약 58,500톤​
특징: 구 소련의 바랴그 항공모함을 중국이 인수하여 개조한 함정으로, 중국 해군의 첫 항공모함입니다.​

 

 

7위 : 비크란트급 항공모함 (인도)

건조 시기: 2013년 진수, 2022년 취역​
길이: 262m​
배수량: 약 45,000톤​
특징: 인도에서 자체 건조한 첫 번째 항공모함으로, MiG-29K 전투기를 운용합니다.​

 

 

8위 : 샤를 드골함 (프랑스)

 

건조 시기: 1994년 진수, 2001년 취역​
길이: 261.5m​
배수량: 약 42,000톤​
특징: 프랑스 해군의 유일한 원자력 추진 항공모함으로, 라팔 M 전투기를 운용합니다.​

 

 

9위 : 카보우르함 (이탈리아)

건조 시기: 2004년 진수, 2008년 취역​
길이: 244m​
배수량: 약 27,100톤​
특징: 이탈리아 해군의 주력 항공모함으로, AV-8B 해리어 II 및 F-35B 전투기를 운용할 수 있습니다.​

 

 

10위 : 이즈모급 항공모함 (일본)

건조 시기: 이즈모함은 2013년 진수, 2015년 취역; 카가함은 2015년 진수, 2017년 취역​
길이: 248m​
배수량: 약 27,000톤​
특징:
처음에는 헬리콥터 모함으로 설계되었으나, 최근 F-35B 스텔스 전투기를 운용할 수 있도록 개조되었구요. 항공기 이착륙을 위해 갑판이 열에 강한 소재로 보강되었으며, 스키 점프대 없이 평갑판 형태입니다. 재난 구호, 대잠수함 작전, 경계 및 감시 임무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하네요. 

 

 

11위 : 후안 카를로스 1세함 (스페인)

건조 시기: 2008년 진수, 2010년 취역​
길이: 231m​
배수량: 약 26,000톤​
특징: 상륙작전과 항공작전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강습상륙함으로, AV-8B 해리어 II 전투기를 운용합니다.​

 

 

12위 : 상파울루함(브라질)

 

건조시기 : 1957년 진수, 

길이 : 265m

배수량 : 24,200톤

특징 : 상파울루함은 최대 40대의 항공기를 탑재할 수 있으며, 주요 함재기로는 A-4KU 스카이호크 전투기, 쿠거 헬리콥터, HB 350 및 HB.355 에큐레유 헬리콥터, SH-3 시 킹 헬리콥터 등이 있으며, 2017년 공식적으로 퇴역이 결정되었다. 브라질은 차기 항공모함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 

 

 

13위 : 인빈시블급 항공모함 (영국)

건조 시기: 1977년~1985년
길이: 209m
배수량: 약 22,000톤
특징: 영국 해군의 경항공모함으로, 해리어 전투기와 헬리콥터를 운용하였습니다. 현재는 모두 퇴역하였습니다.

 

 

14위 : 주세페 가리발디함 (이탈리아)

건조 시기: 1981년 진수, 1985년 취역
길이: 180m
배수량: 약 13,850톤
특징: 이탈리아 해군의 경항공모함으로, AV-8B 해리어 II 전투기와 헬리콥터를 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잠전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15위 : 짜끄리 나르벳함 (태국)

건조 시기: 1996년 진수, 1997년 취역
길이: 182.6m
배수량: 약 11,486톤
특징: 태국 해군의 경항공모함으로, 해리어 전투기와 헬리콥터를 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주로 헬리콥터 운용과 인도적 지원 임무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