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우리나라의 국립공원 현황, 지정순서, 가볼만한 곳 추천(총23곳)

반응형

우리나라에는 몇개의 국립곡원이 있을까?? 남한을 제외한 남한에 있는 국립공원을 지정순서 대로 위치, 특징에 대해서 정리해봤습니다. 

번호 국립공원명 지정연도 위치 특징
1 지리산 1967 전북, 전남, 경남 최초 국립공원, 반달가슴곰 서식
2 경주 1968 경북 경주 신라 천년의 수도 유적
3 계룡산 1968 충남 공주, 계룡, 논산 한반도의 대표적인 도교 신앙 명산
4 한려해상 1968 경남, 전남 (통영~여수) 최초 해상 국립공원, 이순신 장군 전적지 포함
5 설악산 1970 강원 속초, 양양, 인제 한국 3대 명산, 단풍과 계곡 유명
6 속리산 1970 충북 보은, 괴산 / 경북 상주 법주사 위치, 유네스코 문화유산 포함
7 한라산 1970 제주특별자치도 대한민국 최고봉 (1,947m),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8 내장산 1971 전북 정읍 / 전남 장성 호남의 금강산, 단풍이 유명
9 덕유산 1975 전북 무주, 장수 / 경남 거창, 함양 덕유산리조트 스키장
10 오대산 1975 강원 평창, 강릉, 홍천 불교문화 중심지, 월정사 위치
11 주왕산 1976 경북 청송, 영덕 기암괴석과 폭포가 있는 산
12 다도해해상 1981 전남 (목포~완도~여수) 가장 많은 섬(2,321개)이 포함된 해상 공원
13 가야산 1981 경남 거창, 합천 / 경북 성주 팔만대장경이 있는 해인사 포함
14 북한산 1983 서울, 경기 고양, 양주 수도권에서 가장 인기 높은 등산 명소
15 치악산 1984 강원 원주 가을 단풍이 아름다운 산
16 월악산 1984 충북 제천, 충주, 단양 / 경북 문경 바위산과 계곡이 조화를 이룸
17 소백산 1987 충북 단양 / 경북 영주 천문대가 있는 유일한 국립공원
18 변산반도 1988 전북 부안 채석강과 변산반도 해안경관
19 태안해안 1989 충남 태안 국내 유일의 해안사구 보호구역
20 월출산 1988 전남 영암, 강진 암벽등반 명소
21 무등산 2013 광주, 전남 담양, 화순 광주의 명산, 입석대와 서석대 유명
22 태백산 2016 강원 태백, 정선 / 경북 봉화, 영월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해가 뜨는 곳
23 팔공산 2023 대구, 경북 (경산, 영천, 군위, 칠곡) 가장 최근 국립공원 지정, 신라 불교 문화 유적 포함

 

<국립공원 지정요건>

더보기

자연의 보전상태가 양호하여 훼손 또는 오염이 적으며 야생동물이 서식하고, 희귀식물이 식생하고 있거나 지형의 경관미가 뛰어나고 수려한 자연경관이거나 문화재 또는 역사적 유물이 있어 자연경관과 조화되어 보존의 가치가 매우 높은 문화경관 이어야 한다. 또는 각종 산업개발에 의하여 지형의 경관이 파괴되지 아니하고 파괴될 우려가 없는 원지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지형보존 지역이며 토지소유에 있어 국유지 또는 공유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사유지 면적이 적어야 한다. 국립공원의 지정은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와 자연 및 문화 경관을 대표할 만한 자연·문화자원의 보고로서 환경부 장관이 지정한다.

 

1. 지리산 국립공원 (1967년, 대한민국 1호)

 

위치: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남원시, 구례군,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
특징: 대한민국에서 가장 먼저 지정된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최고봉은 천황봉(1,915m)이며, 노고단은 지리산 3대 봉우리 중 하나로, 아름다운 야생화 군락으로 유명한 합니다. 반야봉은 일출 명소이며, 칠선계곡은 국내에서 가장 긴 계곡 중 하나입니다. 반달가슴곰 복원 사업이 진행 중이기도 하죠.

 

2. 경주 국립공원 (1968년, 2호)

위치: 경상북도 경주시
특징: 자연경관과 문화유산 보호를 위해 지정된 국립공원으로 불국사(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석굴암(국보), 대릉원 (천마총 등 신라 왕릉), 첨성대(신라 시대 천문대), 남산지구(신라의 불교 문화유적 밀집 지역) 등 다양한 문화재를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유일의 역사·문화 중심 국립공원이기도 하죠. 

 

3. 계룡산 국립공원 (1968년, 3호)

위치: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시, 논산시
특징: 전설 속 용이 승천하는 형상을 한 계룡산은 천황봉(845m)이 계룡산의 최고봉이며, 갑사라는 신라 시대 창건된 사찰이 유명합니다. 동학사는 조선 후기 위정척사 운동과 관련된 유적이며, 도교의 영향을 받은 자연신앙이 발달한 곳으로도 유명합니다. 

 

4. 한려해상 국립공원 (1968년, 4호)

위치: 경남 통영거제여수

특징: 우리나라 최초의 해상 국립공원으로 이순신 장군의 한산대첩으로 유명한 한산도와 푸른 바다와 기암절벽, 촛대바위가 장관인 소매몰도, 보리암(관음 기도처)이 위치한 남해 금산, 해안절벽과 기암괴석이 멋진 거제 해금강으로 유명한 곳이죠. 한국의 지중해로 불리는 곳입니다. 

 

5. 설악산 국립공원 (1970년, 5호)

위치: 강원도 속초시, 양양군, 인제군

특징: 한국의 대표적인 산악 국립공원 남한에서 세 번째로 높은 봉우리인 대청봉(1,708m), 6억전 생성된 울산바위, 비룡폭포, 천불동계곡, 신흥사, 권금성(케이블카) 등 금강산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 절경을 자랑하는 곳입니다. 가을 단풍이 아름답기도로 유명하죠. 

 

6. 속리산 국립공원 (1970년, 6호)

위치: 충청북도 보은군, 괴산군 / 경상북도 상주시
특징: 불교와 깊은 연관이 있는 명산으로 속리산의 최고봉은 문장대(1,033m)이며, 법주사에 있는 멋진 건물인 팔상전(국보)이 위치하고 있는 곳이죠. 그리고 조선 세조가 머물렀던 소나무인 정이품송도 속리산에 자리잡고 있어요.  속리라는 의미는 ‘속세를 떠난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7. 한라산 국립공원 (1970년, 7호)

위치: 제주특별자치도

특징: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산(1,947m)인 한라산입니다. 정상의 분화구인 백록담으로 유명하죠. 등산코스는 성판악코스, 관음사코스, 영실코스 등이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이 되어 있어요. 

 

8. 내장산 국립공원 (1971년, 8호)

위치: 전라북도 정읍시 / 전라남도 장성군
특징: 단풍이 특히 아름답기로 유명한 내장산입니다. 호남의 금강산이라고도 하는데요. 백제시대에 창건한 내장사, 단풍으로 유명한 백양사, 연지봉, 까치봉도 아름답기로 유명하죠.

 

9. 덕유산 국립공원 (1975년, 9호)

위치: 전라북도 무주군, 장수군 / 경상남도 거창군, 함양군
특징: 겨울 설경이 아름다운 국립공원으로 덕유산의 최고봉은 향적봉(1,614m)이며, 덕유평전이라고 해서 드넓은 고원지대을 이루고 있어요. 구천동계곡, 스키장 (무주리조트)으로 유명하죠. 

 

10. 오대산 국립공원 (1975년, 10호)

위치: 강원도 평창군, 강릉시, 홍천군
특징: 불교문화 중심의 국립공원인 오대산 국립공원은 전나무숲길이 아름다운 월정사,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동종을 보유한 상원사 등 불교유적이 많으며, 비로봉(1,563m)이 최고봉입니다. 

 

11. 주왕산 국립공원 (1976년, 11호)

 

위치: 경상북도 청송군, 영덕군
특징: 바위 절경과 계곡이 조화를 이루는 주왕산은 기암괴석과 폭포가 어우러져 절경을 이루는 주왕계곡, 신비로운 물속 나무 군락지인 주산지, 용추폭포, 절구폭포, 용연폭포 등 멋진 장소들이 있는 곳이죠. 신라 시대 ‘주왕’이라는 인물이 숨어 살았다는 전설이 있는 곳입니다. 

 

12. 다도해해상 국립공원 (1981년, 12호)

위치: 전라남도 (목포완도여수)
특징: 국내에서 가장 많은 섬(2,321개)으로 이루어진 해상 국립공원으로 기암괴석과 해양 생태계가 발달한 섬인 홍도, 흑산도, 푸른 바다와 어우러진 해안 경관을 볼 수 있는 거문도와 백야도 등 아름다운 섬들을 포함하고 있어요. 대한민국에서 가장 넓은 국립공원 (면적 2,321㎢)으로 알려져 있어요. 

 

13. 가야산 국립공원 (1981년, 13호)

위치: 경상남도 거창군, 합천군 / 경상북도 성주군
특징: 불교 문화와 자연경관이 어우러진 명산인 가야산은 상왕봉(1,430m)이 최고봉이며, 고려 시대 팔만대장경 보관되어 있는 해인사, 마애불, 홍류동계곡이 유명합니다. 

 

14. 북한산 국립공원 (1983년, 14호)

위치: 서울특별시, 경기도 고양시, 양주시
특징: 수도권과 가까운 대표적인 등산 명소으로 최고봉인 백운대(836m)와, 인수봉, 만경봉이 있어 다른 명칭으로 삼각산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조선 시대 산성인 북한산성, 진관사, 승가사 등의 전통사찰이 자리하고 있어요. 등산객 방문 수 기준 전국 1위인 산입니다. 

 

15. 치악산 국립공원 (1984년, 15호)

위치: 강원도 원주시
특징: 단풍이 아름다운 치악산은 비로봉(1,288m)이 최고봉이며, 신라 시대 창건된 사찰인 구룡사, 황골계곡, 부곡폭포가 유명하며, ‘곰과 스님’ 전설이 전해지는 곳입니다. 

 

16. 월악산 국립공원 (1984년, 16호)

위치: 충청북도 제천시, 충주시, 단양군 / 경상북도 문경시
특징: 바위산과 계곡이 아름다운 월악산은 영봉(1,094m)이 최고봉이며, 맑은 물과 수려한 풍경의 송계계곡, 고려 시대 불교 사찰은 덕주사, 고려 시대 충주 미륵리사지 석조여래입상(국보)가 있는 곳입니다. 

 

17. 소백산 국립공원 (1987년, 17호)

위치: 충청북도 단양군, 경상북도 영주시
특징: 철쭉이 유명한 소백산은 비로봉(1,439m)이 소백산 최고봉이며, 연화봉, 천문대가 유명한 곳이죠. 

 

18. 변산반도 국립공원 (1988년, 18호)

위치: 전라북도 부안군
특징: 해안과 산악이 조화를 이룬 변산변도 국립공원은 해안 절벽이 책장을 쌓아놓은 듯한 모습을 채석강, 천년고찰 내소사, 직소폭포, 격포해변 등이 유명한 곳입니다. 

 

19. 태안해안 국립공원 (1989년, 19호)

위치: 충청남도 태안군
특징: 다양한 해변과 해안사구가 발달한 국립공원으로 우리나라의 최대 규모 모래언덕인 신두리 해안사구와 꽃지 해수욕장, 안면도 소나무숲이 유명합니다. 

 

20. 월출산 국립공원 (1988년, 20호)

위치: 전라남도 영암군, 강진군
특징: 바위산이 많은 월출산은 천황봉이 최고봉(809m)이며 미왕재, 도갑사가 유명하죠. 암벽등반의 명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멀리서 보면 기암괴석이 마치 타오르는 불의 형상을 하는 산입니다. 

 

21. 무등산 국립공원 (2013년, 21호)

위치: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담양군, 화순군
특징: 남도의 대표적인 명산으로 높dlsms 1,187m로 호남정맥의 산입니다. 입석대와 서석대가 유명하며, 천왕봉 남쪽의 지공너덜과 증심사 동쪽의 넉산너덜은 장관을 이루며, 맑은 날에는 한라산과 거제도까지 보인다고 하네요. 

 

22. 태백산 국립공원 (2016년, 22호)

위치: 강원도 태백시, 정선군 / 경상북도 봉화군, 영월군
특징: 높이는 1,567m인 태백산은 일찍이 민족의 영산으로 정상에는 천제를 지낸 천제단이 있으며, 주목 군락지로 유명한 곳입니다. 근처에 한강과 낙동강의 발원지가 있죠.

 

23. 팔공산 국립공원 (2023년, 23호)

위치: 대구, 경상북도 (경산, 영천, 군위, 칠곡)
특징: 가장 최근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팔공산은 신라 불교 문화와 관련된 명산으로 평생에 소원 하나는 들어준다는 갓바위, 사찰로는 동화사, 은해사, 파계사 등이 자리잡고 있으며, 최고봉은 비로봉(1,150m)입니다. 동봉과 서봉이 솟아오른 봉황의 날개라고도 한다죠..

반응형